hELLO 스킨은 초기에 기능이 많이 없었다가, 티스토리 블로거 여러분의 호응에 힘입어 기능의 추가와 함께 업데이트를 여러 번 하게 되었습니다. hELLO 1.0 때와 비교하면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의 기능과 품질 향상이 있었습니다. hELLO 스킨은 역사는 짧지만 유무료를 모두 포함한 티스토리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스킨을 통틀어 탑티어 안에 드는 스킨임을 자부합니다.
살펴보기
hELLO 가 추구하는 것은 깔끔함과 단순함입니다. 화려함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다른 스킨에 비해 제공하는 스킨 옵션도 적은 편입니다. 구성요소의 색상을 마음대로 지정하는 등의 커스텀은 제공하고 있지 않으니 말이지요.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스킨의 색상을 바꾸려는 등의 시도는 그렇게 많이 하지 않습니다.
기능이 많다고 꼭 좋은 것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대부분 어느 정도 정해져 있고, 설정이 많으면 한눈에 보기에도 복잡하여 설정만 하다가 포기하는 순간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너무 많이 주어진 선택권은, 때로는 정신없게 만들거나 포기를 종용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일 것입니다. 따라서 적은 스킨 옵션으로 스킨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고자 합니다.
글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은 표, 인용, 더보기와 같이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한도에서만 제공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타 스킨으로 옮기더라도 글이 깨지는 등의 사이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스킨을 선택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합니다.
기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더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크 모드
요즘 대세죠. 사용자의 눈을 위해 다크 모드를 지원합니다. 우선순위는 하단의 테마 변경을 통한 수동 설정 > System 이며 블로거가 다크모드를 임의로 설정할 권리는 없습니다. 다크모드와 화이트모드에 대한 내용은 블로거가 아닌 블로그에 작성된 글을 읽는 독자에게 모든 권한이 있어야합니다.

사이드바
사이드바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스킨 설정에서 사이드바를 Off(접힘) 상태로 놓으면, 기준 해상도 1400px 보다 큰 해상도에서 사이드바가 바로 표시되지 않고, 네비게이션의 프로필을 눌러야 나타나게 됩니다. 1400px 보다 작은 해상도에서는 모바일 및 태블릿으로 취급되어 On, Off 설정과는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사이드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코드 하이라이팅
이 스타일은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코드블럭
에 해당합니다. 개발자인 저에게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은 코드 하이라이팅 기능입니다. highlightjs
를 사용하여 코드보다 예쁘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는 go
언어를 표시한 것입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fmt.Println("hELLO")
}
코드블럭 폰트는 D2Coding 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일반 본문은 SUIT 를 씁니다
인용 문구
What is Lorem Ipsum?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It is a long established fact that a reader will be distracted by the readable content of a page when looking at its layout.
이미지 및 슬라이드 쇼
이미지가 중앙 정렬인 경우, 크기가 유지* 되도록 설정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설정은 중앙 정렬인 경우만 적용되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옵션과 같습니다. 그 외에는 특별히 설정해줄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미디어에 따라 설정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싱글 이미지 |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집니다. data-origin-width > width > Content Width | 1100px (max-width) |
그룹 이미지 | 사이즈가 고정입니다. 그룹 이미지는 개별 이미지의 사이즈를 따라가지 않습니다. | 1100px (fixed) |

이미지 지연 로딩
이미지 지연 로딩(Lazy loading)은 사용자의 화면에 보이지 않는 이미지는 로드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로드하는 전략입니다. 티스토리 스킨은 기본적으로 게시글에 포함된 이미지를 모두 로드하여 글에 이미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거나, 큰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글을 접할 때 초기 대면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지연 로딩이 사용되며, 초기 이미지 로딩에 대하여 지연 로딩 적용 전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시된 영역이 글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입니다.

지연 로딩이 적용되기 전에는 사용자가 게시글에 접근하면 초기에 글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이미지를 모두 불러옵니다. 그러나, 지연 로딩이 적용된 이후에는 이를 초기에 불러오지 않습니다. 독자는 글에 있는 이미지가 전부 로드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더라도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경혐과 성능에 영향을 주는 사항입니다. 티스토리 환경에서는 진짜 이미지 지연 로딩을 구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세간의 평가를 온전하게 극복했습니다.

글 목록 스타일
글 목록 스타일은 리스트, 그리드, 지그재그를 지원합니다. 글 목록 스타일은 스킨 커버의 그것과 똑같은 스타일로 적용됩니다. 카테고리 관리에서 글 목록 스타일을 카테고리에 따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본 스타일 유지라는 것은 스킨 편집에서 설정한 글 목록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스킨 커버
스킨 커버는 리스트, 그리드, 슬라이드 쇼, 지그재그 까지 4종류로 정의하였습니다.

스킨 옵션
스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모듈화되어 편의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끄고 싶은 기능은 끄고, 켜고 싶은 기능은 켜보세요. 스킨 옵션은 아래에 사진에 표현 된 것이 전부입니다. 자주 요청된 스킨 옵션만 남겨두었으므로 색상 변경과 같은 자잘한 기능들에 대한 옵션은 제외되었습니다.

너비
글 *너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글은 포스트, 공지사항, 방명록을 이야기합니다.
*모든 컨텐츠는 상한선과 하한선이 있습니다. 375px ~ 1100px 사이에서 설정하십시오.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하한선 미만, 상한선 초과로 설정하면 레이아웃이 깨질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코드 하이라이팅
*코드 하이라이팅에서는 스킨의 코드블럭 테마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highlight.js 를 사용합니다. 테마를 바꾸려면 https://highlightjs.org/static/demo/ 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테마의 이름을 기입하면 됩니다. 버전에 따라 지원하지 않는 테마도 있을 수 있으므로 버전에 유의하십시오. 해당 스킨에서는 v11.7.0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https://github.com/highlightjs/highlight.js/tree/11.7.0/src/styles 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코드 하이라이팅의 배경색은 스킨과의 디자인 일관성을 위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테마를 바꾸더라도 코드의 스타일은 바뀌겠지만 배경색상은 바뀌지 않는 점 유의바랍니다.
메타 태그는 어디서 설정하나요?
메타 태그 설정은 티스토리에서 자체적으로 티스토리 플러그인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 플러그인 - 메타 태그 등록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무엇으로 제작되었습니까?
이 스킨은 티도리 프레임워크로 작성되었습니다. 티도리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구닥다리 티스토리 스킨 개발 방식에 현기증을 느낀 나머지 제가 직접 만든 티스토리 스킨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운로드
이 스킨은 공짜입니다. 제작하면서 많은 공을 들이기는 했지만, 요즘 같이 어려운 시기에 함께 이겨나가고자 돈은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가능하시다면 깃허브에 ⭐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덤으로 티도리 프레임워크에도 부탁드립니다. 개발자에게 깃허브의 별은 칭찬의 의미뿐만 아니라 다른 이에게 프로젝트를 추천한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답니다 😎
*hELLO 티스토리 스킨은 깃허브의 약 천개에 달하는 티스토리와 관련된 모든 프로젝트 중 가장 많은 별을 받은 프로젝트로 자기매김하였습니다. 이는 제가 개발자로 지내는 동안 이루어낸 괄목할만한 성과 중 하나로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깃허브의 별은 프로젝트의 가치를 치켜세우는 응원이자 개발자가 자신이 만든 작품으로 디자인, 검색엔진 최적화, 성능과 같은 웹페이지를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를 대표하여 대중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증표입니다.
과거 버전을 보려면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버전에 따른 변경사항은 릴리즈 노트를 참고해주세요. v4.2 부터는 티스토리 서비스 자체의 변경으로 인해 스킨의 가시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사유에 한해서만 패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전에는 없던 새로운 기능이 스킨에 추가된다거나 또는 삭제되는 일은 어지간해서는 없을 것입니다.
- 4.2.1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2.1/hELLO-dist.zip
- 4.2.0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2.0b/hELLO-dist.zip
- 4.1.4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1.4a/hELLO-dist.zip
- 4.1.3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1.3/hELLO-dist.zip
- 4.1.2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1.2/hELLO-dist.zip
- 4.1.1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1.1a/hELLO-dist.zip
- 4.1.0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1.0g/hELLO-dist.zip
- 4.0.0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4.0.0/hELLO-dist.zip
- 3.6.5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6.5/hELLO-dist.zip
- 3.6.4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6.4/hELLO-dist.zip
- 3.6.3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6.3/hELLO-dist.zip
- 3.6.2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6.2/hELLO-dist.zip
- 3.6.1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6.1/hELLO-dist.zip
- 3.5.5 - https://github.com/tidory/hello/releases/download/3.5.5/hELLO-dist.zip
트러블 슈팅
버그와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이는 티스토리 스킨이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길입니다. 버그는 언제나 있을 수 있습니다. 버그가 없는 프로그램은 세상에 있을 수 없습니다.
이슈에 남기는 것은 오직 버그 신고를 위해 작성되어야 하며, 그 이외에 기능에 대한 질문이나 새로운 기능을 제의하고 싶다면 Github Discussions 에서 해주세요.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
* 스킨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는 이미 다른 사람이 마주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버그를 신고하기 전에, 이미 신고된 적이 있는지, 이슈에서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q=is%3Aissue+is%3Aclosed
스킨에 버그가 발생하면 수시로 코드가 갱신될 수 있습니다. 혹시나, 버그가 있다면 다시 다운로드하여보거나 아직 해결이 안 된 버그가 있다면 이슈를 남겨주세요. 만약 댓글을 통한 신고인 경우 스크린샷의 첨부는 불가하므로 글의 링크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만약 없을 경우에는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수정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Github Discussions
스킨의 기능에 대한 질의응답이나 다른사람이 이미 질문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Github Discussions 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능에 대한 문의나 새로운 기능 제안에 대해 Issues 에서 처리하다가 분리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Github Discussions 을 개설했습니다.
FAQ
댓글 또는 깃허브 이슈에 달렸던 질문들 중에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을 추렸습니다.
Q. 다크모드에서 글자가 검은색으로 나와요.
A. 다크모드에서 글자가 검은색으로 나오는 이유는 사용자의 자유도를 위해 글자의 색상을 흰색으로 강제로 변경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블로거가 에디터에서 글자색상을 변경했는데 다크모드에서 처리되지 않는다면 이는 일정부분 자유도를 침해하는 행동이됩니다.
이 문제는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글을 처음부터 작성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으나 외부에서 본문을 복사 & 붙여넣기 처리한 경우 에디터에서 자체적으로 글자 스타일을 부여하기 때문에 색상이 강제됩니다. 이는 이 스킨이 아닌 티스토리 에디터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것은 글을 쓸 때 복사 & 붙여넣기 없이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처음부터 작성하는 것이고, 이미 작성된 글에 대해서는 에디터에서 HTML 모드로 진입하여 <span style="color:..."></span>
과 같이 작성된 형태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Q. 마크다운, 복사 & 붙여넣기으로 작성했을 때 본문 스타일이 깨져요.
A. 티스토리에 글을 쓸 때 사용하는 티스토리 기본 에디터 - 기본모드로 작성한 글에 대해서만 스타일이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글은 스타일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복사 & 붙여넣기로 다른 곳에 있던 글을 그대로 붙여넣은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글의 구조가 달라 스타일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52
Q. 코드 하이라이팅이 제대로 안 돼요.
A. 코드 하이라이트는 라이트모드/다크모드 분리에 따른 하이라이트 테마 두 개를 요구하는 관계로 스킨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티스토리 플러그인 - 코드 문법 강조에 해당하는 플러그인을 반드시 꺼주시기 바랍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56
Q. 본문 내부에 <script> 를 사용한 외부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A. Gist 등 외부의 리소스를 글 내부로 주입할 때, 의도하는 바와 다르게 처리되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v4.1 에서 이미지 지연 로딩 구현으로 본문의 처리 방식을 v4.0 과는 다르게 바꾸었는데, 그로 인한 부작용으로 파악됩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205
이는 엄밀하게 따져보았을 때는 버그가 맞긴한데, 기술적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려면 이미지 지연 로딩을 롤백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미지 지연 로딩으로 인해 나타나는 블로그의 실질적 성능향상으로 얻는 이점과 비교했을 때 롤백해야 할 수준의 부작용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므로 현재까지는 처리할 예정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Q. <script> 를 사용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싶어요.
A. hELLO 스킨에 코드 라인넘버, 라이트 박스와 같은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해서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v4.1 부터는 글의 이미지 지연로딩 지원으로 인해 렌더링 방식이 바뀌었습니다. 이에 대한 사이드 이펙트로 v4.0 까지 동작하던 본문에 기능 추가를 하는 코드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script defer>
로 스크립트를 불러오고 load
이벤트에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script defer src='//cdn.jsdelivr.net/npm/highlightjs-line-numbers.js@2.8.0/dist/highlightjs-line-numbers.min.js'></script>
<script>
window.addEventListener('load', () => {
hljs.initLineNumbersOnLoad()
})
</script>
위의 방법은 원본 소스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원본 소스코드를 수정하고 컴파일하면 조금 더 깔끔한 방법으로 본문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코딩에 대한 조금 더 복잡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링크에서 참고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discussions/215
Q. 글쓰기 버튼은 어디에 있죠?
A. 글쓰기의 경우 관리자 메뉴에 진입하셔서 하시면 되고, 티스토리에는 블로그에서 관리자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Q 단축키가 있으니 이를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블로그 메뉴에 글쓰기로 연결되는 링크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링크는 https://<URL>/manage/post
와 같은 형태로 처리하되, <URL>에는 블로그 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이를테면 제 블로그의 주소는 https://pronist.tistory.com 이므로 https://pronist.tistory.com/manage/post 가 됩니다.
Q. 구독 버튼이 안 보여요.
A. v4.1.4 버전에 구독 버튼 출력 조건이 변경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2차 도메인과 관련하여 사용자 경험이 다소 좋지 않다는 피드백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접속중인 환경이 2차 도메인이라면 구독 버튼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또한 자기 소유의 블로그일 때 출력되지 않습니다.
버그 신고를 하기 전에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 스킨의 버그인지 사용자의 환경에 의해 발생한 외부의 문제인지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때때로 카카오의 잠수함 패치에 따라 티스토리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버그도 있습니다. 따라서 세가지 측면에서 모두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약 글자가 이상하게 표현된다거나, 코드 하이라이팅이 제대로 표시가 되지 않는다거나 할 때는 먼저 두 가지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Q.2차 도메인을 사용 중인가요?
A. 2차 도메인에서는 댓글, 구독 등 로그인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는 스킨의 문제가 아닌 티스토리의 제약사항으로, 이 문제는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서 2차 도메인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Q.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또는 확장 기능을 사용 중인가요?
A. 크롬 등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이나 확장 기능으로 인해 본문이 잘못 표시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신고하기 전에 플러그인을 Off 한 뒤 점검해보세요. 플러그인으로 인해 발생했었던 문제에 대한 사례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전에는 애드블록, 애드가드와 같은 광고 차단 플러그인과의 충돌도 있었습니다. 새 버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는 본질적으로 카카오에서 포함하는 리소스와 충돌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41
Q.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사용 중인가요?
A. 티스토리에는 스킨에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존재합니다. 특히, 코드 하이라이팅의 경우에는 스타일이 겹쳐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Off 한 뒤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관련한 코드 하이라이팅 문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dory/hello/issues/30
Q.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 중인가요?
A. 이 스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배제하였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이 스킨이 올바르게 동작하리라고 보장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IE 를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조차 더는 지원을 중단(95.08.17 ~ 22.06.15)했으며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브라우저입니다.
Support for Internet Explorer 11 has ended on June 15, 2022.
Internet Explorer help - Microsoft Support
Explore subscription benefits, browse training courses, learn how to secure your device, and more. Microsoft 365 subscription benefits Communities help you ask and answer questions, give feedback, and hear from experts with rich knowledge. Ask the Microsof
support.microsoft.com
저작권
*이 스킨은 사용자가 직접 개작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단, 원저작자가 누구인지를 표기해야 하며, 스킨의 코드가 담겨있는 주소인 https://github.com/tidory/hello 를 남길 필요가 분명히 있습니다.
* 사이드바에 있는 저작권 표시 문구는 필수사항으로, 스킨 개발자의 블로그로 연결됩니다. 이는 반드시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