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hELLO 스킨은 본래 기능의 많이 없었다가, 최근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여러 기능의 추가와 함께 업데이트를 여러 번 하게 되었습니다. hELLO 1.0 때와 비교하면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의 기능과 품질 향상이 있었습니다. hELLO 스킨은 역사는 짧지만 유무료를 모두 포함한 모든 스킨을 통틀어 탑티어 안에 드는 스킨임을 자부합니다.
현재 이 블로그의 스킨과 동일하지만 조금 더 다양한 커버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hello-skin.tistory.com
Tistory Skin, hELLO.
hELLO. 티스토리 스킨 프리뷰를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영되는 것이 아니며, 오직 프리뷰를 위해 사용됩니다.
hello-skin.tistory.com
웹 표준을 준수하는 상위 2% 사이트입니다
hELLO 스킨은 검색이 더욱 잘 되도록 웹 표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주는 것도 물론 많지만 스킨 자체의 웹 표준 준수 여부도 검색에 있어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서 구독을 누르고 도망갔습니다
왠지는 모르겠지만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서 구독을 누르고 사라졌습니다. 근데 정작 바로 구독취소를 해버려서 구독자 목록에는 없군요. 아무일도 안 일어나겠지만 어쨌거나 흥미로운 해프닝인 걸로.
반짝반짝!
개발자 커뮤니티인 Github
에서 주어지는 별은 개발자에게 큰 힘이 되어주고 프로젝트에 대한 가치를, 사용자에게는 추천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스킨은 무료 스킨이고, 별이 많아질수록 빛납니다. 스킨이 반짝반짝 해질 수 있도록 여러분께서 별을 쏴주시는 것이 제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하트를 마음껏 뿜뿜 남겨주세요 :)
여러분, 스킨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것은 구독 버튼입니다.
티스토리 분야에서 가장 많은 별을 받은 프로젝트
hELLO 티스토리 스킨이 2021.10.08 기준으로 깃허브에 등록된 685개의 티스토리 프로젝트 중, 가장 많은 ⭐을 받은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랑해주신 것 같아 개발자로서도 기쁩니다. 이 순위는 언제든 바뀔 수도 있지만, 적어도 이 포스트를 수정하는 순간은 1등이 되었습니다!
깃허브 트렌드
hELLO 티스토리 스킨 프로젝트가 잠시동안이지만 2022.03.17 에 깃허브 트렌드에 진입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어느 시기가 되어야 트렌드에서 볼 수 있을까 기대하고 있었는데 드디어 진입했습니다.
깃허브 트렌드에는 각 언어에 따라 25개의 프로젝트가 나타나는데, 한국어 부문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이 트렌드라는 것은 TODAY 가 기준이라 금방 사라지겠지만, 그래도 포함되었다는 것에 기쁩니다. 여러분 덕분입니다 :)
무엇으로 제작되었습니까?
이 스킨에는 아래와 같은 기술들이 쓰였습니다. 기존의 티스토리 스킨 제작에 들어가는 기술과는 사뭇 다른 느낌일 것입니다. 제가 만든 티스토리 스킨 프레임워크가 적용되었기 때문이지요.
이 스킨은 티도리 프레임워크로 작성되었습니다. 티도리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구닥다리 티스토리 스킨 개발 방식에 현기증을 느낀 나머지본인이 직접 만든 티스토리 스킨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어떤 것인지 알아보려면 아래의 링크에 방문해보세요.
티스토리 스킨 프레임워크, 티도리(TIDORY)
오직 티스토리 스킨만을 위한 프레임워크
tidory.com
패치노트
패치노트는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blob/master/CHANGELOG.md 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ELLO 스킨의 패치는 일정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언제든 패치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 스킨 - 이용자 제작 스킨에 나와있는 버전에 따라 현재 패치된 버전을 알 수 있습니다.
* hELLO 스킨은 기본적으로 티스토리 스킨이 가질 수 기능들이 대부분 완성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신규 기능 추가 예정이 없습니다. 버그에 대한 유지보수는 계속하게 될 것이며, 가지치기를 할 때이므로 잘 쓰이지 않는 기능들은 제거될 수 있습니다.
** 단,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다면 적극 검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기능을 제공합니까?
hELLO 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함입니다. 다른 스킨에 비해 제공하는 스킨 설정이 적다고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구성요소의 색상을 마음대로 지정하는 등의 커스텀은 제공하고 있지 않으니 말이지요.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스킨의 색상을 바꾸려는 등의 시도는 그렇게 많이 하지 않습니다.
기능이 많다고 꼭 좋은 것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대부분 어느 정도 정해져 있고, 설정이 많으면 한눈에 보기에도 복잡하여 설정만 하다가 포기하는 순간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은 스킨 설정으로 스킨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고자 합니다.
글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은 표, 인용, 더보기와 같이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한도에서만 제공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타 스킨으로 옮기더라도 글이 깨지는 등의 사이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스킨을 선택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한 가지, HTML 모드를 켜서 직접 작성해야 하는 기능은 글 읽기 모드를 수동으로 바꾸는 것뿐입니다. 이 기능은 필요하지 않다면 사용할 필요가 일체 없습니다. hELLO 티스토리 스킨을 적용한 사용자가 할 일은 그저 다른 스킨처럼 커버를 적용하고 꾸민 뒤, 글을 작성하는 것 이외에는 없습니다.
살펴보기
각 기능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더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다크 모드
요즘 대세죠. 사용자의 눈을 위해 다크 모드를 지원합니다. 스킨 설정에서 조절하거나, 블로그를 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우선순위는 다크 모드에서 수동 설정 > OS > 스킨 설정이며, 라이트 모드에서는 수동 설정 > 스킨 설정 > OS 로 구성합니다.

사이드바
사이드바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참고로 스킨 설정에서 사이드바를 Off(접힘) 상태로 놓으면, 기준 해상도 1400px 보다 큰 해상도에서 사이드바가 바로 표시되지 않고, 네비게이션의 프로필을 눌러야 나타나게 됩니다. 1400px 보다 작은 해상도에서는 모바일 및 태블릿으로 취급되어 On, Off 설정과는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사이드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코드 하이라이팅
이 스타일은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코드블럭
에 해당합니다. 개발자인 저에게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은 코드 하이라이팅 기능입니다. highlightjs
를 사용하여 코드보다 예쁘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는 go
언어를 표시한 것입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fmt.Println("hELLO")
}
코드블럭 폰트는 D2Coding 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일반 본문은 Noto Sans KR 을 씁니다
인용 문구
What is Lorem Ipsum?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It is a long established fact that a reader will be distracted by the readable content of a page when looking at its layout.
이미지 및 슬라이드 쇼
이미지가 중앙 정렬인 경우, 크기가 유지* 되도록 설정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설정은 중앙 정렬인 경우만 적용되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옵션과 같습니다. 그 외에는 특별히 설정해줄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미디어에 따라 설정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싱글 이미지 | 다음과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집니다. data-origin-width > width > Content Width | 1100px (max-width) |
그룹 이미지 | 사이즈가 고정입니다. 그룹 이미지는 개별 이미지의 사이즈를 따라가지 않습니다 | 1100px (fixed) |
슬라이드쇼 | 슬라이드쇼의 첫 번째 이미지 크기를 따라갑니다. | 1100px (max-width) |

글 목록 스타일
글 목록 스타일은 리스트(오리지널), 리스트, 그리드, 갤러리, 지그재그를 지원합니다. 글 목록 스타일은 스킨 커버의 그것과 똑같은 스타일로 적용됩니다.
카테고리 관리에서 글 목록 스타일을 카테고리에 따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얼마 전에 티스토리에 추가된 신기능입니다. 여기서 기본 스타일 유지라는 것은 스킨 편집에서 설정한 글 목록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스킨 옵션
스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모듈화되어 편의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끄고 싶은 기능은 끄고, 켜고 싶은 기능은 켜보세요.
컨텐츠 너비
각 컨텐츠에 따라 *너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홈(인덱스)는 홈, 카테고리, 태그, 검색에 관한 페이지 너비 설정이며, 글(퍼머링크)는 포스트, 공지사항을 이야기합니다.

*모든 컨텐츠는 상한선과 하한선이 있습니다. 320px ~ 1100px 사이에서 설정하십시오.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하한선 미만, 상한선 초과로 설정하면 레이아웃이 깨질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테마
테마에서는 스킨의 기본 테마와 코드블럭 테마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코드블럭은 highlight.js(11.1.3) 를 사용합니다. 테마를 바꾸려면 https://highlightjs.org/static/demo/ 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테마의 이름을 기입하면 됩니다. 버전에 따라 지원하지 않는 테마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스킨에서는 11.1.3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https://github.com/highlightjs/highlight.js/tree/11.3.1/src/styles 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드
모드는 글 목록과 글이 어떻게 보여질 지를 결정합니다. 공지사항 목록은 기본 목록 스타일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리스트 및 글 이미지 모드를 설정하면 글에 진입했을 때 썸네일이 보이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 글의 경우 테이프 모드입니다.

글 이미지 모드는 글마다 다르게 수동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포스트에 다음과 같은 HTML 코드를 추가하며, data-mode
의 값에 screen, tape, default
중 하나를 입력하면 수동으로 변경됩니다.
<div class='h' data-mode='screen'></div>
이 기능은 비공식 기능입니다. 티스토리 스킨의 공식 기능으로 제공하면 UI 상으로 사용자가 직접 글을 쓸 때 글 읽기 모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이런 식으로 하지 않아도 될 텐데 정말 아쉽습니다. 얼른 공식적으로 제공되었으면 좋겠네요 :(
스크린과 테이프 모드는 기본적으로 썸네일 이미지가 있어야 처리됩니다. 따라서 썸네일이 없다면 기본(default)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사이드바
사이드바를 숨기거나, 카테고리 접기/펼치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글
기본 글 읽기, 글 읽기에서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요소들에 대해 설정합니다. *TOC(Table Of Contents)라는 것은 글 오른쪽에 나와있는 네비게이션을 의미합니다.

*TOC(Table Of Contents)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반드시 해상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글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로 1820px 이하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메타 태그는 어디서 설정하나요?
메타 태그 설정은 티스토리 플러그인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킨 옵션으로 별도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플러그인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
상호작용 메시지
상호작용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상황별로 나타나는 메시지가 서로 다릅니다!

스킨 커버
스킨 커버는 리스트(오리지널), 리스트, 그리드, 갤러리, 슬라이드 쇼, 슬라이드쇼 (스크린), 슬라이더, 슬라이더 (스크린), 지그재그 까지 9종류로 정의하였습니다. 리스트(오리지널)은 hELLO 2.0 까지 사용하던 구 버전 리스트입니다.

갤러리, 슬라이드 쇼, 슬라이더와 같이 썸네일 기반의 커버, 글 목록 스타일을 사용하실 때에는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썸네일이 없으면 빈 화면이 나오거나 예상하지 못한 출력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다운로드
이 스킨은 공짜입니다. 제작하면서 많은 공을 들이기는 했지만, 요즘 같이 어려운 시기에 함께 이겨나가고자 돈은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가능하면 깃허브에도 ⭐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덤으로 티도리 프레임워크에도 부탁드립니다. 개발자에게 깃허브의 별은 칭찬의 의미뿐만 아니라 다른 이에게 프로젝트를 추천한다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답니다 :)
스킨 다운로드는 링크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releases/download/3.6.1/hELLO-dist.zip
과거 버전을 보려면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요?
티스토리 스킨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어떤 스킨이나 공통적으로 구성됩니다. 이 부분에서 가장 많이 겪는 문제는, images
폴더를 업로드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images
폴더의 파일들이 반드시 업로드되었는지 체크해야 합니다. 이것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무한 로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1
기여하기
hELLO 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있는 오픈소스이며, 오픈소스의 꽃은 이슈(Issues), 그리고 기여(Contributing)입니다. hELLO 에 기여하는 방법은 스킨에 새로운 테마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hELLO 는 이제 안정화 단계에 있기 때문에 버그 수정 이외에는 소스코드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여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테마를 제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기로 했습니다. 기여를 하면 깃허브 레포지토리 기여자 목록에 추가된답니다.
내가 만든 테마를 다른 이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작성된 테마는 hELLO 전용이기 때문에 다른 스킨에선 사용할 수 없지만, 새로운 티스토리 스킨 하나를 만드는 일에 비해 hELLO 테마를 만드는 것은 그렇게 시간이 소모되지 않는답니다. 스킨에서 제공하는 기본 테마는 light, dark 두 개뿐입니다.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기여자분들이 만든 테마가 널리 사용될 것이고 가치는 증대될 것입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기여방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blob/master/CONTRIBUTING.md
Github Discussions
스킨의 기능에 대한 질의응답이나 다른사람이 이미 질문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Github Discussions 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 기능에 대한 문의나 새로운 기능 제안에 대해 Issues 에서 처리하다가 분리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Github Discussions 을 개설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질의응답, 새로운 기능 건의, 그리고 hELLO 를 커스텀하여 만든 테마까지 홍보할 수 있습니다.
트러블 슈팅
버그와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이는 티스토리 스킨이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길입니다. 버그는 언제나 있을 수 있습니다. 버그가 없는 프로그램은 세상에 있을 수 없습니다.
이슈에 남기는 것은 오직 버그 신고를 위해 작성되어야 하며, 그 이외에 기능에 대한 질문이나 새로운 기능을 제의하고 싶다면 Github Discussions 에서 해주세요.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
* 스킨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는 이미 다른 사람이 마주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버그를 신고하기 전에, 이미 신고된 적이 있는지, 이슈에서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q=is%3Aissue+is%3Aclosed
스킨에 버그가 발생하면 수시로 코드가 갱신될 수 있습니다. 혹시나, 버그가 있다면 다시 다운로드하여보거나 아직 해결이 안 된 버그가 있다면 이슈를 남겨주세요.
또한 댓글을 통한 버그 신고라 할지라도 위와 같은 구조를 따라야 합니다. 다만 댓글에 스크린샷의 첨부는 불가하므로 글의 링크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만약 없을 경우에는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수정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FAQ
댓글 또는 깃허브 이슈에 달렸던 질문들 중에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을 추렸습니다.
Q. TOC(목차, Table of Conetents)를 스킨 설정에서 On/Off 했는데도 안 나와요.
A. TOC 는 본문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가로 1820px 이하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렇게 기준이 깐깐한 이유는 이미지와 본문의 넓이를 스킨옵션에서 1100px 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이고, 추가적으로 사이드바의 넓이 및 여백이 고려되었기 때문입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51
Q. 티스토리 메뉴와 구독 버튼이 안 나와요.
A. 티스토리 메뉴 및 구독 버튼은 스킨에서 제어하는 것이 아닌 티스토리 관리자 - 꾸미기 - 메뉴바/구독 설정에서 설정해야합니다. 구독 버튼의 경우 자신이 소유한 블로그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는 스킨이 아닌 티스토리 블로그의 기본적인 동작입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57
Q. 마크다운(Markdown), 복사 & 붙여넣기으로 작성했을 때 본문 스타일이 깨져요.
A. 티스토리에 글을 쓸 때 사용하는 티스토리 기본 에디터 - 기본모드로 작성한 글에 대해서만 스타일이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글은 스타일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복사 & 붙여넣기로 다른 곳에 있던 글을 그대로 붙여넣은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글의 구조가 달라 스타일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52
Q. 코드 하이라이팅(Code Highlighting)이 제대로 안 돼요.
A. 코드 하이라이트는 라이트모드/다크모드 분리에 따른 하이라이트 테마 두 개를 요구하는 관계로 스킨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티스토리 플러그인 - 코드 문법 강조에 해당하는 플러그인을 반드시 꺼주시기 바랍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56
버그 신고를 하기 전에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 스킨의 버그인지 사용자의 환경에 의해 발생한 외부의 문제인지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랍니다. 만약 글자가 이상하게 표현된다거나, 코드 하이라이팅이 제대로 표시가 되지 않는다거나 할 때는 먼저 두 가지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Q.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또는 확장 기능을 사용 중인가요?
A. 크롬 등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이나 확장 기능으로 인해 본문이 잘못 표시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신고하기 전에 플러그인을 Off 한 뒤 점검해보세요. 플러그인으로 인해 발생했었던 문제에 대한 사례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41
Q.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사용 중인가요?
A. 티스토리에는 스킨에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존재합니다. 특히, 코드 하이라이팅의 경우에는 티스토리 스킨과 스타일이 겹쳐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 플러그인을 Off 한 뒤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관련한 코드 하이라이팅 문제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issues/30
그 외에 스킨을 사용하면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더보기를 눌러 참고할 수 있으며, 기능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기능을 제공합니까? 를 참고하여 스킨 옵션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구독 버튼 & 티스토리 메뉴가 없어요
스킨 오른쪽 상단의 구독 버튼과 사이드바에 표시되는 티스토리 메뉴를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기능은 스킨의 기능이 아닌 티스토리의 기능이므로 관리자 메뉴에서 처리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블로그 메뉴바라는 것은 사이드바의 티스토리 메뉴를 의미하며 구독 버튼은 스킨 상단에 위치하는 구독 버튼입니다.
* 구독 버튼은 타인이 아닌 블로그 소유자가 로그인했을 경우, 소유한 블로그에는 나타나지 않음을 주의하십시오. 이것은 버그가 아닌 티스토리의 기본 동작입니다.
마크다운
이 스킨은 Markdown 으로 작성된 포스트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스토리 기본 에디터로 작성된 포스트에 대해서만 처리되고 있으므로 Markdown 으로 작성된 포스트는 스타일이 의도한 대로 나타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 스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E)는 배제하였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이 스킨이 올바르게 동작하리라고 보장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IE 를 만든 마이크로소프트조차 더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하고 있으며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브라우저입니다. 그래프를 참고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을 살펴보십시오. 2020년 11월기준 1.13% 라는 처참한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이 시대에 IE 를 논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접근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IE 를 지원하려 들다가 스킨의 퍼포먼스가 더욱 낮아질 수 있습니다.
저작권
*이 스킨은 사용자가 직접 개작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단, 원저작자가 누구인지를 표기해야 하며, 스킨의 코드가 담겨있는 주소인 https://github.com/tistory-projects/tistory-skin-hELLO 를 남길 필요가 분명히 있습니다.
*왼쪽 하단사이드바에 있는코드 아이콘저작권 표시 문구는 필수사항으로, 스킨 개발자의 블로그로 연결됩니다. 이는 반드시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러 블로그 스킨 탐방 후 마음에 드는 게 없어
며칠을 블로그 만드느라 고생했습니다..ㅠㅠ
우연히 상우님 블로그를 접하게 돼 정말 다행입니다.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hello 스킨에서 코드블럭 테마를 변경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따로 적용을 해도 잘 안되네요 ㅠㅠ
공유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D
한동안 소홀했던 티스토리 더 열심히 할 맛나네요-
좋은 스킨 감사합니다 ☺️ 잘 사용하겠습니다.
스킨 바꾸니 계속 블로그에 들어오고 싶어 지네요
잘 쓰겠습니다! 👍
블로그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의 -> 표시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에서는 네모로 표시가 되는데
(이미지를 못 불러올 때 나오는 것처럼)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hELLO 티스토리 스킨을 오늘부터 적용하였습니다.
좋은스킨 공유 감사드립니다.
댓글의 답댓글이 default가 display:none인거 같은데 default를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HTML 에서 댓글과 관련된 클래스(rp-list, comments 등)에 아래와 같이 쓰인 문장이 있다면 제거 해주시기 바랍니다.
uk-accordion="multiple: true; toggle: .control > .more; content: > ol; animation: false; targets: > li[id^=comment]"
이렇게나 빨리 답을 주실 지 모르고 제가 댓글을 삭제하고
새롭게 댓글을 달려고 했습니다.
처음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는 것이라서 좀 어렵지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멋진 스킨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당!!